남미 (South America)/2011 브라질

병풍처럼 시원스레 펼쳐진 브라질쪽 이과수 폭포

호야(Ho) 2011. 5. 27. 07:14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

혹자는 묻는다.

            

같은 폭포를 두고

아르헨티나와 브라질 국경을 넘나 들면서까지

굳이 번거롭게 양쪽에서 봐야 하는 이유가 있는가?

         

필자는 'Yes'라고 답하고 싶다.

          

국경을 넘어 브라질쪽에서 바라본 이과수 폭포는

아르헨티나쪽에서 보는 폭포와는

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.

         

이과수 국립공원 내의 270여개의 폭포 중

규모가 크고 물줄기가 센 녀석들은

대부분 아르헨티나쪽에서 떨어진다.

        

때문에 아르헨티나쪽에서는

바로 코 앞에서 떨어지는,

거대한 물의 장벽이 만들어 내는

엄청난 굉음과 세찬 물줄기로 인해

대자연의 웅장함을 실감할 수 있다.

        

반면에 브라질쪽에서

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이과수 폭포는

마치 병풍처럼 펼쳐지며 끝없이 이어지는 폭포가

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다.

        

이것이 바로 양쪽을 다 봐야

이과수 폭포를 제대로 봤다고 할 수 있는 이유다.

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         

어제는 웅장한 아르헨티나의

이과수 폭포를 만나 봤고

           

오늘은 국경을 넘어

브라질의 이과수 폭포를 만나러 간다.

          

아르헨티나의 뿌에르또 이과수 버스 터미널에서

브라질의 포스 두 이과수행 버스를 타고

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국경을 넘는다.

         

중간에 내려서 버스를 갈아타고

이과수 국립공원 입구에 도착한다.

          

여기서 입장료를 납부한 후,

밖에 대기하고 있던 버스를 타고

산책로 입구에 도착한다.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산책로 입구로 걸어 들어가니,

         

강 건너편으로 짙푸른 녹음 속에

화려한 폭포의 전경이

마치 파노라마처럼 끝없이 펼쳐진다.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산책로 아래쪽에서는

보트 투어를 즐기는 관광객들의 모습이

눈 안에 들어온다.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        

숲과 계곡 사이로 난 산책로를 따라 걷다보면

숲을 하나 하나 지날 때마다

새로운 폭포들이 서로 다른 모습으로

그 위용을 드러낸다.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산책로 중간 중간 마련된 폭포 전망대에서는

관광객들이 강 건너에 펼쳐진 아름다운 장관을

카메라에 담느라 분주하다.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▲ 강 위쪽에 물보라가 연기처럼 피어 오르는 곳이

바로 악마의 목구멍...

         

어제 아르헨티나쪽에서

마치 나의 영혼까지도 빨아드릴 기세로 내리꽂던

바로 그 악명 높은 녀석이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아름다운 폭포들의 행렬을 감상하며

산책로를 따라 걷다보니

저만치 강 위로 놓인 철제다리가 나타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▲ 이제부터는 그 동안 눈으로만 보아 왔던 폭포를

직접 몸으로 느껴 볼 차례...

             

다리 위에 올라서는 순간

사방에서 날라드는 물보라 때문에

금방 물에 빠진 생쥐꼴이 되고야 만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강 가운데로 이어진

철제 다리를 따라 걷는다.

         

안개 같던 물보라는

다리 끝으로 갈수록 우박처럼 커진다.

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옷이며 카메라를 공격하는 물세례를 맞으면서도

사람들은 미치도록 좋아하고 즐거워한다.

          

철제다리 입구에는 비옷을 파는 곳도 있지만

비옷을 입고 있는 사람은 아무도 없다.

          

아예 수영복 차림인 사람들도 많다.

벗거나 홀딱 젖거나 둘 중 하나...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30도를 오르내리는 열대 정글의 더위는

어디론가 사라진지 오래다.

이젠 오히려 몸에 한기가 느껴진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

그래도 사람들은 좋다며

깔깔대고 마냥 신이 난 표정들이다.

          

마치 비오는 날 옷이 흠뻑 젖도록

물장구치며 함박웃음을 짓는

천진난만한 아이들의 모습을 보는 것만 같다.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분명히 뿌옇게 나올 거라는 걸 알면서도

절대 잊지 못할 순간을 카메라에 담느라

연신 셔터를 눌러댄다.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

▲  위쪽 폭포에서 떨어진 물줄기가

철제다리 바로 밑에서

새로운 폭포가 되어 다시 떨어진다.

그야말로 2단폭포...

         

뒤쪽에서는 우박 같은 물방울이 덥치고

바로 발 밑에서는 엄청난 양의 물이

다시 폭포를 이루어 떨어져 내리니

혼이 빠질 정도로 정신을 차리기가 힘들다.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

▲  폭포에서 떨어져 내린 물줄기는

새찬 소용돌이를 일으키며

강으로 흘러 흘러 들어간다.